직무특성이론 1. 직무특성이론의 의의 직무확대화는 왜 생산성 향상에 공헌하는가? 이에 대해 Hackman과 Oldham은 직무가 확대되었을 때 직무의 내재적 특성이 성과로 연결되는 심리적 과정을 제시하여 직무설계와 성과 간의 관계를 보다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데 공헌하였다. 2. 직무특성모델의 내용 (1) 핵심직무차원 ①기능다양성(skill variety) : 특정 직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기능의 종류 ②과업정체성(task identity) : 작업자가 현재 수행하는 직무를 가지고 생산하는 제품(완제품)과의 관계를 인식할 수 있는 정도 ③과업중요성(task significance) : 작업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직무가 최종제품의 성공적인 완성에 얼마나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는지 인식하는 정도 ④자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