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우선 노무사입니다.
오늘은 임금채권의 소멸시효, 임금체불의 공소시효 판단에 관한
고용노동부 질의회시를 살펴보겠습니다.
근로기준법 제36조 및 제42조 관련 임금채권 소멸시효와 공소시효
회시번호 : 임금 68207-315, 회시일자 : 2001-05-03
[질 의]
□□청 관내 △△회사 소속근로자 ○○○은 1995.1월 임금과 1997.1월 임금을 받지 못한 채 1999.1.1 퇴사한 후 2001.1.1 고소를 제기하였음. 이 경우 근로기준법 제36조 위반혐의로 처벌할 수 있는지 여부(임금채권 소멸시효의 중단에 관한 사유가 없었고, 고소제기일을 공소제기가능일로 간주함)
<갑설>
제기한 2001.1.1을 기준으로 1995.1월 임금과 1997.1월 임금의 임금채권 소멸시효가 만료되었다 하더라도 퇴사일 1999.1.1로부터 공소시효가 만료되지 않았으므로 1995.1월 임금 및 1997.1월 임금 모두 처벌할 수 있음.
<을설>
퇴사일 1999.1.1로부터 공소시효가 만료되기 이전에 고소가 제기되었고, 퇴사일인 1999.1.1을 기준으로 1995.1월 임금은 임금채권 소멸시효가 만료되었으므로 처벌할 수 없으나 1997.1월 임금은 임금채권 소멸시효가 만료되지 않았으므로 처벌할 수 있음.
<병설>
1999.1.1로부터 공소시효가 만료되기 이전인 2001.1.1 고소를 제기하였으나 고소를 제기한 2001.1.1 기준으로 1995.1월 임금 및 1997.1월 임금 모두 임금채권 소멸시효가 만료되었으므로 처벌할 수 없음.
[회 시]
근로기준법 제36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가 퇴직한 때로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등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는 바, 이때 임금은 같은 법 제48조의 규정에 의한 소멸시효가 완성된 것은 제외된다고 보아야 할 것임.
따라서 귀 질의상의 `을설'과 같이 퇴직시 소멸시효가 완성되지 아니한 임금을 그때로부터 14일 이내에 근로자에게 지급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같은 법 제112조의 규정에 의한 처벌을 받게 될 것인 바, 이때 근로기준법 위반의 죄에 대하여는 `공소시효는 범죄행위를 종료한 때로부터 진행한다'는 형사소송법 제252조의 규정에 따라 퇴직일로부터 14일이 경과한 날로부터 동법상 공소시효가 완성되지 아니한 시점까지는 그 처벌이 가능하다고 보아야 할 것임.
감사합니다.
'노동법 이슈 (Labor Law) > 임금, 퇴직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해석] '임금체불 행위의 공소시효' 관련 해석 (법무부 법무심의관실-3484) (0) | 2021.06.22 |
---|---|
[질의회시] 감시·단속적 근로자에 대한 야간근로수당 지급여부 (0) | 2021.05.17 |
[질의회시] 방학기간을 퇴직금 산정의 계속근로기간에서 제외할 수 있는지 여부 (근로기준과-2811) (0) | 2021.04.27 |
[질의회시] 격일제 근무가 '근로자의 날' 겹치는 경우 휴일근로수당 지급 여부 (0) | 2021.04.22 |
[질의회시] 위장폐업을 이유로 해고한 경우 해고 후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하는지 여부 (근기 68207-1044) (0) | 2021.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