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우선 노무사입니다.
오늘은 정년을 초과하여 계속근무하는 근로자의 경우
별도의 촉탁근로계약서를 작성해야하는지 여부에 관한 고용노동부 질의회시를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정년을 초과하여 계속근무시 별도의 촉탁근로계약서를 작성하여야 하는지
회시번호 : 근로기준과-1603, 회시일자 : 2009-05-27
【질 의】
❍당사 정년연령은 취업규칙에 57세로 되어 있으며 현재 정년초과 근무자가 많이 근무하고 있음(60대 후반도 있음).
❍정년초과자 근무시 회사에서 근로계약서만 받아두고 근무시켜도 되는지 아니면 촉탁근로계약서를 별도로 작성하고 근무시켜야 되는지?
【회 시】
❍귀 사의 정년을 초과하여 계속 근로하고 있는 근로자에 대한 회사 조치사항과 관련한 질의에 대한 회신임.
❍정년제는 ‘근로자가 일정한 연령에 도달하면 근로자의 의사나 능력과 무관하게 근로계약관계를 종료시키는 제도’를 말하며,
-근로기준법 제93조에서는 퇴직에 관한 사항을 취업규칙에 규정하도록 하고 있고, 정년은 퇴직사유의 하나이므로 취업규칙에 정하여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임.
❍정년기간이 도래한 것과 같이 근로계약기간이 종료되었으나 상당한 기간 근로자가 계속하여 근로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에 관하여 이의를 제기하지 않은 경우 동일한 내용으로 근로계약이 갱신된 것으로 보게 됨(민법 제662조제1항).
-따라서 귀 사의 질의내용과 같이 정년을 초과하여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를 기존 근로조건의 변경없이 근로계약서만 작성하고 계속근무를 시키는 것은 가능하며, 별도의 촉탁근로계약서 작성이 필요한 것은 아님.
(근로기준과-1603, 2009.05.27)
감사합니다.
'노동법 이슈 (Labor Law) > 근로계약, 취업규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의회시] 사직서 제출 후 사직 철회 가능 여부 (근로개선정책과-3882) (0) | 2021.06.07 |
---|---|
[질의회시] 안전보건관리규정이 취업규칙에 해당하는지 여부 등 (근로개선정책과-4722) (0) | 2021.06.04 |
[질의회시] 학교 조리종사원의 퇴직금산정 및 연차유급휴가 (근기 68207-2124) (0) | 2021.05.31 |
[질의회시] 근로계약의 종료시기가 정년시점 이후에 도래할 경우 퇴직 시점 (근기 68207-1375) (0) | 2021.05.28 |
[질의회시] 근로계약 기간 만료 시에도 해고예고를 해야하는지 여부 (근로개선정책과-3232) (0) | 2021.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