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안녕하세요. 전우선 노무사입니다.
오늘은 모성보호 및 일가정양립 제도 요약본을 안내드리려 합니다.
모성보호 및 일가정양립 제도
여성근로자의 사회진출은 점차 늘어나고 있지만 육아의 부담 등 경제활동을 제약하는 어려움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이에 근로기준법 및 남녀고용평등법은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등 모성보호 및 일가정양립을 위한 다양한 장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각 제도별 요건, 사용기간, 사용방법 등을 임신부터 출산, 육아에 이르는 순서에 따라 난임치료휴가,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출산전후휴가, 유·사산휴가, 배우자출산휴가, 육아휴직, 육아기근로시간 단축 순으로 정리하였으니 업무처리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고용노동부 발간 2021년 모성보호 및 일가정 양립 지원 업무편람을 첨부하오니 자세한 사항은 이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1 모성보호와 일가정 양립 지원 업무편람.pdf
6.20MB
감사합니다.
728x90
'노동법 이슈 (Labor Law) > 모성보호 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사례] 임대소득으로 인하여 육아휴직 급여가 제한될 수 있는지 여부 (4) | 2021.05.04 |
---|---|
[질의회시] 육아휴직 때문에 상여금을 지급하지 않을 수 있는지 여부 (근정 68240-285) (0) | 2021.02.26 |
[질의회시] 출산육아기 고용안정장려금 처리에 있어 계열사 간 이동한 근로자의 계속고용(육아휴직 종료 후 6개월 이상) 인정 여부 (여성고용정책과-1095) (0) | 2021.02.24 |
[질의회시] 만삭의 아내를 돌보기 위한 가족돌봄휴직 사용 가능 여부 (여성고용정책과-1843) (0) | 2021.02.22 |
[질의회시]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배우자출산휴가 부여 방법 (여성고용정책과-3101) (0) | 2021.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