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자원관리 (Human Resource Management)/인적자원관리 일반

[인사노무관리] 1-1. 경영학과 인사관리

전우선 2021. 5. 31. 20:00
728x90

 

 

 

 

경영학과 인사관리

 


 1. 경영학이란

 

기업이라는 개별 경제단위에서 일어나는 경제활동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2. 인적자원관리란

 

기업의 경제적 효율성과 종업원의 사회적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인력을 대상으로 확보·개발·평가·보상·유지·이직활동을 계획(plan)하고 실천(do)하고 통제(see)하는 제 활동

 


 3.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

 

  (1) 조직체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영의 3요소(3M)이 있는데 사람(man), 돈(money), 물자(material)가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영의 3요소 가운데 가장 중요한 자원은 흔히 숨은 가치(hidden value)라고 부르는 인적자원이다. 인적자원을 숨은 가치라고 부르는 이유는 인적자원이 회사의 경제적 공시정보인 제무제표에는 표시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금융기관에서는 특정 기업의 재무상태나 지급능력을 평가할 때 숨어 있는 인적자원의 가치를 반드시 평가하는데, 인적자원이 지니는 특수한 속성-성과의 수행자, 비용 요소, 인격을 갖춘 개인, 의사결정자-때문이다. 흔히 ‘기업은 사람이다’라고 말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2) Barney는 자원기반관점(Resource Based View)에 의거하여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자원은 ①가치가 있고(valuable), ②희소하며(rare), ③모방이 불가능하고(inimitable), ④대체될 수 없는(unsubstitutable) 특성을 가진다고 주장하는 바(VRIU Framework), 이후 인사관리 학자들은 인적자원이야말로 이러한 특성을 가진 자원이라 생각하게 되었다. 불확실한 경쟁환경 하에서 기업은 VRIU를 가진 자원을 조직하고 활용하는 능력의 정도에 따라 경쟁역량이 결정되므로 인적자원은 중요하다.

  (3) Simon은 기업의 경영활동은 의사결정(decision making)의 연속이며, 경영활동의 효율성은 바로 의사결정의 질(quality)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러한 의사결정의 주체자는 바로 인적자원이며, 이들의 능력이 바로 의사결정의 질을 결정하므로 중요하다. 

 


 4. 인적자원관리의 목표


  (1) 인사관리의 목표는 기업에서 인사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을 하는 데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인사관리 활동이 얼마나 효율적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인사관리는 경영활동 중의 한 기능분야로서 경영활동의 목표, 즉 기업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인사관리의 목표 또한 기업조직의 목표달성에 공헌해야 하는 본질적 특성을 갖게 된다.

  (2) 기업조직의 목표는 기업의 유지와 성장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조직의 ①경제적 효율성인 수익성, 환경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유연성, 그리고 조직의 실체를 유지할 수 있는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경제적 효율성 추구의 목표는 기업을 경제·기술 시스템으로 보고 수립된 것이다.

조직의 ②사회적 효율성은 조직과 조직의 이해관계자들과의 원만한 관계유지를 말한다. 즉 종업원의 욕구충족을 통한 만족극대화 추구를 의미한다. 사회적 효율성 추구라는 목표는 기업조직을 사회시스템으로 파악하는 데서 출발한다.
두 목표 간에는 상호보완적 관계뿐만 아니라 상호경쟁적 관계도 존재한다. 즉 기업이 경제적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종업원의 적극적인 노력 내지 협동을 끌어내는 것이 필수적인데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 효율성의 달성이 필수적이다. 경제적 효율성은 조직 내 종업원에 대한 사회적 효율성이 어느 정도 달성되었을 때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사회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용이 수반되기 때문에 경제적 효율성과의 경쟁적 관계가 존재하게 된다.

 

 


 

안녕하세요. 전우선 노무사입니다.

공인노무사 2차 인사노무관리 시험을 준비하며 정리하였던 내용을 공유합니다.

저는 정준모 노무사님의 인사노무관리 강의를 수강했고, 본 정리 내용도 정준모 노무사님의 'RECAP 인사노무관리 강의워크북'을 토대로 하였습니다.

이 외에도 신인사관리(박경규 저), 신인적자원관리(김영재, 김성국, 김강식 저), 인적자원관리 전략노트(김유미 저) 등을 참조하였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