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관리의 관리사 : 사용자와 종업원의 관계
1. 가내수공업 : 가부장적 인사관리
가부장적 가족제도 하에서 가장의 역할은 두 가지 특징을 지닌다. ①가족구성원을 이끌어 나가는 데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며 가족구성원에 대해 전제적인 지배형태를 보인다. ②가장 전제적 지배 뒤에는 가족구성원의 생계유지 및 보호라는 의무와 관련되는 기능이 존재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공장주는 종업원에 대해 거의 절대적인 권한행사를 통해 권위주의적이고 전제적인 지배를 할 수 있었으며, 반면에 종업원등이 질병 등 개인적으로 불행을 당했을 때는 급여와 관계없이 도움을 주기도 했다. 사장의 종업원에 대한 개인적인 도움은 오늘날 복리후생의 시작이 되었고 그 당시 복리후생 형태를 일종의 ‘부권적 은혜’로 분류하기도 한다.
2. 산업혁명 초기 : 착취적·전제적 인사관리
산업혁명의 발생으로 높은 품질수준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고 기계를 통한 대량생산체제가 이루어졌다. 산업혁명 시작 후 몇 년 동안에는 제품을 만들기만 하면 팔 수 있는 시대였으나 점차 시장에서 제품경쟁이 불붙게 되면서 공장주들은 공장을 확장시키기 위한 자금압박에 시달리게 되었다. 외부에서의 자금조달이 한계에 부딪히자 자금조달의 원천을 기업내부에서 찾기 시작하였다. 즉 인건비를 줄여서 자금조달을 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와 종업원의 관계는 점차 착취적이고 전제적인 지배형태를 띠게 되었다. 즉 가부장적 인사관리 시대의 전제적 지배형태를 변함없이 유지되었으나 종업원에 대한 보호기능은 급격히 약화되었다.
3. 산업화 진행 : 협의적 인사관리
기업경영의 경쟁력이 공장확장 및 새로운 기계도입만으로는 확보되기가 점차 어려워졌다.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욕구가 다양해지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업들은 항상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즉, 과거에는 기업경쟁력의 주체가 새로운 기계도입 및 자금확보였으나, 점차 그 주체가 종업원으로 바뀌어 가게 되었다. 종업원의 직능수준도 점차 향상되었으며 의식수준도 높아져 더 이상 공장주가 착취적·전제적 인사관리를 행할 수 없게 되었다. 공장주는 종업원과 일상업무를 대함에 있어 협의적으로 변화하게 되었고 복리후생의 폭도 점차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여기에는 노동조합의 역할도 매우 컸다.
4. 후기 산업화시대 : 민주적 인사관리
협의적 인사관리에서 기업의 일상업무에 대해 기업주가 종업원과 협의는 하지만 최종의사결정은 기업주 스스로 내리는 데 비해, 민주적 인사관리 형태의 기업에서는 기업경영의 크고 작은 일에 대해 기업주와 종업원이 동수의 대표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민주적으로 의사결정을 행한다.
독일기업에서는 기업의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특정한 사항뿐만 아니라 전략적인 사안에 이르기까지 기업 측 대표와 종업원 측 대표가 모여 공동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있다. 이는 독일에서 과거 독재자의 앞잡이가 되었던 기업가의 권력을 약화시키고 근로자의 협동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기업에서의 ‘공동의사결정제도’를 구상하게 된 것이 그 배경이 되었다.
안녕하세요. 전우선 노무사입니다.
공인노무사 2차 인사노무관리 시험을 준비하며 정리하였던 내용을 공유합니다.
저는 정준모 노무사님의 인사노무관리 강의를 수강했고, 본 정리 내용도 정준모 노무사님의 'RECAP 인사노무관리 강의워크북'을 토대로 하였습니다.
이 외에도 신인사관리(박경규 저), 신인적자원관리(김영재, 김성국, 김강식 저), 인적자원관리 전략노트(김유미 저) 등을 참조하였습니다.
'인적자원관리 (Human Resource Management) > 인적자원관리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사노무관리] 1-6. 이론사 : 노동지향적 접근 (0) | 2021.06.05 |
---|---|
[인사노무관리] 1-5. 이론사 : 전략적 접근 (0) | 2021.06.04 |
[인사노무관리] 1-4. 이론사 : 인간관계적 접근 (0) | 2021.06.03 |
[인사노무관리] 1-3. 이론사 : 기계적 접근 (0) | 2021.06.02 |
[인사노무관리] 1-1. 경영학과 인사관리 (0) | 2021.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