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자원관리 (Human Resource Management)/직무 관리

[인사노무관리] 직무분석의 주요 개념, 목적, 내용

전우선 2023. 4. 20. 17:28
728x90

 

직무분석 관련 용어

1. 요소/과업/의무/책임

(1) 요소(Element)

동작, 정신적 과정을 따로 분리시켰을 때 가장 작은 단위의 일 ex.과태료 미납차량 조회

 

(2) 과업(Task)

요소들로 구성되어 독립된 목적으로 수행되는 하나의 명확한 작업활동 ex.재산압류

 

(3) 의무(Duty)

여러 가지 유사한 형태들의 과업들로 구성되어 특정 개인이 수행하는 활동

 

(4) 책임(Responsibility)

직무의 존재 이유나 목적을 설명하는 개념으로서, 하나 이상의 의무로 구성

 

 

2. 직위/직무

 

(1) 직위(Position)

한 개인에게 할당된 과업의 집단 ex.체납과태료징수1

조직도 상에서 상대적 위치로 표시

종업원의 수 = 직위의 수

 

(2) 직무(Job)

작업의 종류와 수준이 비슷한 직위들의 집합 ex.과태료팀

 

 

3. 직군/직종/직렬

 

(1) 직군(Job Family)

유사한 직무의 집단 ex.교통관리 징수팀

 

(2) 직종(Occupation)

유사한 직군의 집단 ex.교통경찰

 

(3) 직렬(Job Series)

유사한 직무의 결합으로 직군의 규모가 클 때 직군 세분화를 위해 적용

 

 

직무분석의 주요 내용

 

1. 직무분석의 개념과 목적

 

직무의 내용직무수행에 필요한 요건을 분석하여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의 형태로 정리하는 체계적인 활동

모든 인사노무관리 활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

 

 

2. 직무분석의 주요내용

 

(1) 직무수행 내용(What workers do)

직무수행 내용을 element, task, duty, responsitbility 등의 기준을 통해 수집하고 분류한다.

 

(2) 직무수행 방법(How workers do)

직무수행 시 적용되는 methods, tools, techniques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3) 직무수행 결과(Why workers do it)

직무 수행을 통해 어떤 productsservices를 얻고자 하는지 파악한다.

 

(4) 직무수행 요건(Workers Qualifications)

직무수행에 필요한 Knowledge, Skill, Attitude, Physical ability 등의 정보를 수집한다.

 
 
사진: Unsplash 의 Teemu Paananen
 

직무분석 관련 이슈

 

1. 목적과 활용 측면

 

많은 조직들이 직무분석을 실시했고, 그 결과로 직무기술서도 작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활용하지 못하고 보관만 해두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은 직무분석의 목적을 명확히 인식하지 못한 채 목적 달성에 적합하지 않은 방식으로 직무분석을 실시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무분석의 결과물을 어떻게 활용할 지에 대해 직무분석을 시작하기 전부터 명확히하여 적합한 분석방법을 택하고, 그 결과물이 활용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직무분석에 대한 저항과 신뢰 확보

 

분석 실행단계에서 직무 수행자들이 분석활동 자체를 반대하거나 정보제공을 기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구성원들이 직무분석의 목적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거나 오해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오해와 저항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직무분석의 목적과 결과물, 그 활용방안에 대해 사전에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의사소통을 하고,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같이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업데이트

 

기존에 수행했던 직무분석의 결과물이 지금의 조직상황과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조직의 변동상황을 반영하여 적절한 시기에 직무분석의 결과물인 직무기술서나 직무명세서를 업데이트했어야 했는데 그렇게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직무분석 및 그 결과물들의 최신성을 유지하기 위한 담당조직 또는 담당자를 지정하고, 목적에 맞도록 직무분석의 방법 및 기간을 합리적으로 조정하여 이러한 증상들을 해결할 수 있다.

 

 

직무분석의 새로운 트렌드

 

1. 직무 vs

 

경영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직무의 내용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직무기술서에 의해 한정적으로 정의되는 직무(job)라는 개념보다 유연하게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좀 더 포괄적인 일(work)의 개념을 중시하는 추세이다.

 

2. 과업 vs 역할

 

과업중심의 직무분석은 인적구성의 수직적, 수평적 관계에 상관없이 직무를 구성하는 내용, 즉 과업이 무엇이고 과업 내부적으로 어떻게 수행되는 지에만 관심을 가진다. 반면 역할중심 직무분석은 조직 내 구성원 간의 관계성에 초점을 두고 과업들의 흐름과 이를 통해 달성해야 하는 목적들을 폭넓게 분석하게 된다.

 

3. 정태적 분석 vs 동태적 분석

 

기존의 직무분석은 주로 일상적 과업 위주로 정태적 직무분석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비일상적인 문제의 발생이나 위험에 대해 누가 어떻게 대응해야할 것인지에 대해 직무분석을 통해 그 내용을 담고자하는 동태적 직무분석도 시도되고 있다.

 

4. 기능 vs 프로세스

 

기존의 직무분석에서는 주로 직무에서 수행되는 과업의 기능적인 면을 설문이나 인터뷰 등을 통해 파악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과업들 간의 흐름에 중점을 두고 프로세스 매핑을 통해 더욱 포괄적으로 직무를 분석하는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다.

 

5. 시가주의

 

직부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직무평가를 통해 직무 가치를 산정함에 있어서도 한 기업 내의 형평성만을 고려한 일방적인 가치 책정보다는 동종업계 동일노동 시장의 직무에 대한 가치를 고려하여 직무에 대한 가치를 산정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6. 세분화 vs 브로드밴딩

 

단위 직무를 세분화하여 관리하기 보다는 유사 직무를 넓은 관점에서 하나의 직무로 묶어 인력활용 및 관리의 유연성을 도모하는 브로드밴딩 경향이 강화됨에 따라 직무분석 또한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는 추세이다.

 

안녕하세요. 전우선 노무사입니다.
공인노무사 2차 인사노무관리 시험을 준비하며 정리하였던 내용을 공유합니다.
저는 정준모 노무사님의 인사노무관리 강의를 수강했고, 본 정리 내용도 정준모 노무사님의 'RECAP 인사노무관리 강의워크북'을 토대로 하였습니다.
이 외에도 신인사관리(박경규 저), 신인적자원관리(김영재, 김성국, 김강식 저), 인적자원관리 전략노트(김유미 저) 등을 참조하였습니다.

728x90